[Dr.Lee Jisung Taekwondo] "Taekwondo Instructors Live on Education" (with. Master Park Hanseob)
Dr. Lee Jisung : Hello, this is Lee Jisung of Desirable Education Lab.
(Introduction of Dr.Lee)
Dr. Lee : After we opened our YouTube channel, 3,000 people watched our videos in 4 days. This shows how Taekwondo Dojangs are going through tough times due to COVID-19. So, I came all the way to Pohang with my sense of duty. Today, I visited a Taekwondo Dojang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philosophy, and education system. Let’s have an interview with a young Taekwondo instructor, Master Park Hanseob.
It’s nice to meet you.
PARK HAN SEOB : Nice to meet you, too.
Lee Jisung : Thank you.
Park : I’m Park Hanseob and I’ve been running a Taekwondo Dojang for 12 years at Buk-gu, Pohang.
(Introduction of Master Park Hanseob)
Dr.Lee : I heard that you have an educational philosophy and I’m here to ask you about education today.
Park : I see.
Dr.Lee : I heard that you often mentioned how Taekwondo Dojang should focus on education.
Park : Yes.
Dr.Lee : Could you explain the meaning?
Park : When it comes to academic definition, the meaning of education is to teach everything about behaviors. At Taekwondo Dojangs, the biggest lesson that children and Taekwondo trainees can learn from the Taekwondo masters and instructors is the life skill. So, I thought about how Taekwondo Dojangs can teach trainees better and assist the parents in growing the children better. I believe that such thoughts made me who I am right today.
Dr.Lee : I’m sure many Taekwondo Dojang owners think about that point. It is common to think about meaning of education. Still, you must have difficulties in changing the thoughts into actions.
Park : Yes.
Dr.Lee : What were the some of the difficulties you had?
Park : The most difficult part was when some people complained about how students cannot study well in other private schools such as English schools. I also had to take many requests from the parents. For example, the parents requested on picking up and dropping off their children at school every five minutes. Although I couldn’t accept all the requests, I tried my best to take requests as many as possible. I also managed to cope with the parents over time. As a result, the parents are listening to my voice and stories more actively.
Dr.Lee : (Laughs)
Park : That’s what I have in mind.
Dr.Lee : You just mentioned about the most realistic point. Despite such reality, one thing we should always keep in mind is that Taekwondo Dojang should have its unique color. As you run your Taekwondo Dojang, how are you teaching Taekwondo?
Park : My Dojang’s Taekwondo education shares the similar framework with other Taekwondo Dojangs. Still, my Taekwondo Dojang has a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lthough we are still going through COVID-19, our curriculum still focuses on Taekwondo and combines physical exercise that children can enjoy more. So, we call Monday and Wednesday as Sports Day and call Tuesday, Thursday, and Friday as Taekwondo Day. This helps children exercise more and build up better relationship with other children and we are also sharing such points with the parents. Nevertheless, we do have a dilemma and I’ll ask you a question about this later. Some ask why we have 3 days of Taekwondo Day and two days of Sports Day. In our Taekwondo education curriculum, the trainees come to Dojang every day.
Dr.Lee :I see.
Park : So, that’s the regular course.
Dr.Lee : Okay.
Park : So, children who come to Dojang three times a week get disadvantages in Taekwondo evaluation. Although we aren’t that strict on the curriculum, we do have a distinction. Before answering the question on why I divided Sports Day and Taekwondo Day, I want to ask a question to Dr.Lee now. So, I want to ask a question about coming to Taekwondo Dojang three times a week and 5 times a week.
Dr.Lee : I’m in trouble (Laugh)
Park : Of course, there is no correct answer.
Dr.Lee : Okay.
Park : Do you think is it better to go to Taekwondo Dojang three times a week or 5 times a week? Which would be better? I want to hear your answer.
Dr.Lee : (Laughs) Let me ask a question. Do you have a detailed curriculum for Taekwondo education?
Park : Yes. Our Taekwondo Dojang sets annual, monthly, weekly curriculum as well as the menu for managing the Taekwondo instructors. I’m not saying that other Taekwondo Dojangs should do this. This needs much time and effort. Still, I believe such detailed curriculum will be helpful.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open an encyclopedia for the curriculum. Then, try to come up with the most essential curriculum.
Dr.Lee : Hmm…
Park : I think Taekwondo Dojang’s curriculum should try to teach more easily. Instead of filling up everything in the bookshelf and memorizing the encyclopedia, I try to learn myself and summarize what I learned make easier and more convenient curriculum and system. That’s the key point. I think we don’t have enough time to show them here and Dr.Lee is avoiding my question. Is that true, Dr.Lee?
Dr.Lee : (Laughs) I actually have been emphasizing the 3-day program for about 10 years and one of the reasons is the unique class. In order to spread Taekwondo Dojang, you need to attract more people and you also need the right classes for them. That’s becomes really easy when you have a curriculum.
When the Taekwondo instructor has a clear concept of the curriculum, he or she can easily run the curriculum. Let’s say you set 60 hours for yellow belt course. If you have a curriculum for 60 hours in details, some can finish the course in one year or in four years. By having the detailed curriculum, you can tell the consumers about how they completed the curriculum.
Having such curriculum is important because there is a Taekwondo belt promotion. When people are required to complete the whole curriculum and education before the belt promotion, some will take the belt promotion test really fast while some will take the test later. People who want the belt faster will come to Taekwondo Dojang more often.
This is one of the examples. I believe Taekwondo instructors can come up with own answers by thinking about various options. The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you must have Taekwondo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to do so. That’s why I mention this point. I hope this answers your question.
Park : We will place Dr.Lee’s phone number on the subtitle below. If you have personal questions, please call Dr.Lee and he will be available 24 hours a day. Don’t hesitate to call him.
Dr.Lee, Park (Laughs)
(Edit Point)
Dr.Lee : We have four main Taekwondo organizations in Korea.
Park : Yes.
Dr.Lee : When it comes to Taekwondo of Republic of Korea, many people mention about Korea Taekwondo Association and Kukkiwon. Do you have any wish for them?
Park : First of all, the four organizations share the similar and unified thoughts but they seek different directions and goals. In other words, these four organizations have different business models. In my personal opinion, many Taekwondo Dojangs are adopting online systems since COVID-19 pandemic but it is hard to apply online systems on some of the parts.
The Taekwondo Dojangs cannot overcome difference in technology and investments. In the “Mobile App” system, the parents, trainees, and Taekwondo instructors can evaluate the performance on weekends, check on the curriculum progress, and current statue of the children easily in the online system without actually coming to the Taekwondo Dojangs.
I also want the Taekwondo organizations to arrange the institutional systems to prevent the disputes over the mistake of the Taekwondo Dojang owners. This would help the Taekwondo instructors a lot.
Lee : I see.
Park : That’s what I’ve been thinking.
Dr.Lee : You mentioned a good point. Master Park just pointed out the reality of Taekwondo in Korea very well. I agree with what he just said. It is really challenging to run Taekwondo Dojangs in such tough times. To manage the Taekwondo Dojangs better in such tough times, I think Taekwondo Dojangs should be a place for Taekwondo. To do so, there should be a curriculum for teaching Taekwondo better. This isn’t something that individuals can do. So, Master Park pointed out that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and Kukkiwon should arrange the standards for making the Taekwondo curriculum.
Park : Yes.
Dr.Lee : Once you have Taekwondo curriculum, Taekwondo Dojangs can adopt any daily curriculums they prefer depending on how they want to run Taekwondo Dojang. Coming all the way to Pohang and hearing from Master Park, I have a heavy heart. Master Park shared some good points. Still, I see hope in Taekwondo curriculums. Master Park showed the hope of Taekwondo Dojang’s successful future by enduring and holding on to philosophy in the tough times. Today, Master Park explained that Taekwondo Dojangs need to focus on Taekwondo and that there are various ways to promote Taekwondo programs. Master Park also pointed out all organizations and Taekwondo masters need to work together to boost Taekwondo. I hope that was a good summary. Master Park.
Park : Yes.
Dr.Lee : Thank you so much for your time.
Park : I hope my comments weren’t too incoherent. I wish our subscribers, Taekwondo masters, Taekwondo instructors, and great-minded leaders who can read the trends would get invited to this channel to share thoughts with an open mind. Anyway, thank you so much for coming to Pohang today.
Dr.Lee : Thank you.
Park : Thank you.
Dr.Lee : That’s all for today and I’ll visit another Taekwondo Dojang in the next video. Thank you so much for Taekwondo masters and Taekwondo fans watching this video.
Park : Yes.
Dr.Lee : Thank you.
Park : Don’t forget to subscribe and click like button.
https://www.youtube.com/channel/UC3q4qCxPyX18itHyHkwMpUA/featured
Dr. Lee Ji-sung(Profile)
8th Degree Black Belt(Kukkiwon)
Ph.D.,Yonsei University (Social Physical Education)
Director, Yonsei University Athletic Association
Vice President,Yonsei University Athletic Association
Executive Director,Yonsei University Alumni Association
Executive Director, Korean Association for Sports Diplomacy
Instructor, Korea Taekwondo Association
Director, Korea Desirabl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Former Director,Korea Taekwondo Association
Former Secretary General,Pohang Sports Association
Former Director,Pohang Sports Association— Planning Bureau
Former Vice President,Gyeongsangbuk-do Athletic Association
Member,World Taekwondo Training Center Relocation Feasibility Review Committee (2014)
Secretary General,2014 World Taekwondo Hanmadang Organizing Committee
Judging Subcommittee Chairman,Korea Taekwondo Association Technical Specialist Committee (2014)
Vice-Chairman, Dojang Subcommittee of the Technical Expert Committee of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2013)
Executive Member,2013 Seoul World Taekwondo Leaders Forum
WTA World Taekwondo Academy Program Development (2013)
Memberof the Special Committee for the Kukkiwon Seongjihwa Project (2012)
Kukkiwon Research Institute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 (2011)
Member,Operation Preparation Advisory Committee, Taekwondo Promotion Foundation(2010)
Secretary Generalof Gyeongtae Foundation
Memberof Kukkiwon Structural Reform Committee (2010)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operational advisor for the WTA Operation Preparatory Committee
Since September 5, 1993 Until July 1, 2021, he operated the Taekwon Dojang(Academy)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omment>https://www.facebook.com/photo?fbid=5670077979722311&set=a.175621172501380
"사범은 교육으로 먹고 산다."
안녕하십니까. 바람직한 교육 연구소 소장 이지성입니다.
이지성 : 저희가 유튜브를 오픈하고 4일 만에 3000분이 다녀가셨습니다. 이것은 코로나 이후 그만큼 태권도장이 어렵다는 증거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사명감을 가지고 오늘은 멀리 포항까지 왔습니다. 오늘 찾아뵌 도장은 이 나름대로의 특징과 철학과 교육이 있다고 합니다. 오늘 젊은 박한섭 관장님을 뵙고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장님, 안녕하십니까.
박한섭 : 네. 반갑습니다.
이지성 : 네.
박한섭 : 네. 저는 포항 북구쪽에서 12년차 태권도장을 운영을 하고 있는 박한섭 관장이구요,
이지성 : 아, 제가 오늘 이렇게 온 것은 관장님이 교육적 철학을 갖고 계시다 그래서 교육에 대한 것을 한번 여쭤보려고,
박한섭 : 네.
이지성 : 찾아왔습니다. 태권도장이 교육을 중심으로 해야 된다고 말씀을 많이 하셨다는데,
박한섭 : 네.
이지성 : 그 의미가 뭡니까?
박한섭 : 교육이라는 어떤 그런 학문적 단어는 단순하게 행동에 대한 모든 것들을 가르치는 것인데, 관장님과 사범님에게 직접적으로 아이들이, 수련생들이, 배울 수 있는 가장 큰 것이 바로 라이프 스킬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태권도장에서 조금 더 잘 지도할 수 있고, 또 성장하는 데 있어가지고 우리가 그 부모님들에게 한 번 더 도움이 될 수 있는 그런 역할을 할 수 있을까, 해서 교육이라는 이제 많은 것을 고민하고 생각하게 된 결과가 지금까지 오지 않았나, 이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이지성 : 사실 많은 관장님들이 이런 생각을 하십니다. 이게 특별한 생각이 아니죠. 그런데 이걸 실천하기 위해서는 분명히 어려운 점이 있으셨을 거예요.
박한섭 : 네.
이지성 : 그 어려운 점이 어떤 부분이 어렵습니까?
박한섭 : 가장 어려웠던 것은 태권도를 힘들게 가르치는. 영어학원이든, 이제 다른 학원이든 가면 아이들이 공부를 제대로 못한다, 그리고 또 하나, 어, 이제 많은 요구사항들이 많았습니다. 뭐…방과 후 5분 단위로 학교를 태워줘야 되고, 태워와야 되고 그런 경우들이 되게 많았는데, 하지만 그것 또한 100% 다 수용하진 못했지만, 그래도 해줄 수 있는 것은 최대한 해주되, 어렵지만, 또 그런 어려운 걸 잘 겪어냈기 때문에 지금 또 이런 저의 호소와 이런 얘기들을 부모님들이 들어주지 않나,
이지성 : (웃음)
박한섭 : 네, 그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이지성 : 지금 이제 관장님이 가장 현실적인 말씀을 하셨어요. 이런 현실적인 마음속에 저희가 꼭 해야 될 것은 그 도장의 색깔을 가져야 된다는 부분도 있습니다. 지금 이렇게 경영을 하시면서 태권도의 교육은 어떻게 하고 계십니까?
박한섭 : 태권도의 교육은 여느 도장의 어떤 그런 골격과는 크게 다르진 않습니다. 그 안에 조금 다른 것이 있다면 저희는 코로나를 우리가 겪고 있는 중이지만, 태권도 중심의 기반으로 바탕으로 하되, 일주일에 두 번 정도는 아이들에게 놀이형 체육이라는 말이, 아이들에게 조금 더 기쁨을 줄 수 있는, 그런 활동을 병행을 해서, 월요일, 수요일은 스포츠 데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고, 화, 목, 금은 태권도 데이라는 이름을 써서 플레이적으로, 재밌게, 그리고 부모님들에게도 요구하는 것이, 많이 뛰고 친구들과 잘 지냈으면 좋겠다, 라는 것을 부모님들과 함께 이렇게 이제 잘 교감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나중에 제가 박사님에게 한번 질문을 드릴 얘긴데, 이제 저희가 이제 어, 딜레마가 있는 게 있습니다. 왜 태권도 데이를 3일 하고, 스포츠 데이를 두 번 하느냐, 태권도는 매일 오는 시스템으로 저희가 지금 운영을 하고 있어요.
이지성 : 네.
박한섭 : 이게 정규 과정이죠.
이지성 : 네.
박한섭 : 그로 인해서 뭐 주 3일 다니는 애들은 심사에 대한 차등을 준다거나, 우리가 조금 많이 풀어놨지만 그래도 어쩔 수 없이 그런 어떤 변별력이 좀 있거든요. 태권도 데이와 스포츠 데이를 나눈 이유는 지금 뜬금없는 말이지만, 박사님께 한번 질문을 드려보고 제가 대답을 하겠습니다. 일주일에 세 번 태권도 하는 것과, 일주일에 다섯 번 태권도 하는 것에 대한 것을 물론 이제,
이지성 : 큰일났네.
박한섭 : 맞다, 안 맞다, 라는 것은 없지만,
이지성 : 네.
박한섭 : 이거를 과연 일주일에 세 번을 가야 되는 것인지, 아니면 5일 다 가야 되는 것인지, 이걸 과연 어떻게 풀어나가야 될까, 제가 역질문을 해보겠습니다.
이지성 : (웃음) 한 가지만 질문 드릴게요. 혹시 태권도 교육에 커리큘럼이 정확하게 되어 있으신가요?
박한섭 : 네. 커리큘럼은 저희가 이제 연, 월, 주, 일, 그 다음 사범 관리 메뉴까지 다 정해놓고 있고, 그런데 중요한 것은 우리 구독자 분들, 오해하지 마세요. 이렇게 하시면 피곤합니다. 그런데 피곤하지만, 한번 피곤하셔야 열 번 행복해요. 그 말은 한번은 이런 대백과사전을 도장에서 한번 펼치셔야 되는 거예요. 그리고 그 커리큘럼을 최대한 엑기스로 줄여서,
이지성 : 음...
박한섭 : 그걸 쉽게 가르치는 것이 커리큘럼이지, 도장 뭐 이제 제 생각입니다. 도장 책장에 이만큼 모든 것들이 있고, 그것을 대백과사전을 다 외우고 그런 것보단 내가 배우되 이만큼을 줄여서 최대한 편하게 하는 것이 제가 추구하는 커리큘럼이고 시스템입니다. 그게 핵심이고, 그걸 많은 걸 보여드리기에는 시간이 짧으니까, 박사님이 자꾸 제 질문을 피하시는 것 같은데….
이지성 : (웃음) 아, 제가 그 사실은 벌써 10여 년 전서부터 주 3일 프로그램을 강조했던 이유 중에 하나는 도장이 확산되기 위해서는 이제 많은 사람들을 수용을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그 색깔에 맞는 클라스가 있어야 되는 거였거든요. 커리큘럼이 있으면 이건 굉장히 쉽습니다.
교육 과정이 그 지도자가 정확하게 간직하고 있으면 그것을 푸는 방법인데, 그 방법이 쉽습니다. 내가 만약에 노란띠 과정을 뭐 60시간으로 잡았다 그러면, 60시간에 대한 커리큘럼만 정확하게 있으면, 어떤 사람은 1년에, 어떤 사람은 4년에 이 수업을 마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 교육 과정을 정확하게 마쳤다는 것을 소비자들에게 얘기할 수 있으니,
이 부분을 가지면 크게 어렵지 않게, 왜냐면 그거에 가장 또 기본적인 게 심사거든요. 심사를 할 때 이렇게 시술을 다 마치고 교육을 마친 사람에 한해서만 심사를 보게 하면 어떤 사람은 빨리 볼 수 있고, 어떤 사람은 늦게 볼 수도 있어요. 빨리 보고 싶은 사람은 더 빨리 도장에 오겠죠.
이런 형태를 가지고, 이것도 하나의 예죠. 여러 생각을 하다보면 거기 안에서 답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지금 이렇게 말씀드리는 거는 이제 시스템적으로, 커리큘럼이 있었을 때 할 수 있는 얘기라서, 제가 그거를 한번 대답해드렸습니다. 대답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박한섭 : 자, 지금 아래 자막에 박사님 전화번호가 나가고 있을 겁니다. 개인적 질문은 이제 박사님에게 다시 이제 전화를 주시면 24시간 동안 상담 가능하다고 하니 적극 전화주시기를 바랍니다. 네.
이지성, 박한섭 : (웃음)
이지성 : 그러면 저희가 이제 우리가 태권도 4대 조직이 있습니다.
박한섭 : 네.
이지성 : 그 중에서 이제 대한민국의 태권도를 얘기할 때는 대부분 대한태권도협회와 국기원을 많이 얘기하는데 혹시 거기에 기관으로서 바라는 것이 있는지,
박한섭 : 어, 첫 번째는 뭐 4개 단체의 어떤 그런 뭐 통일된 어떤 생각들은 다 비슷하지만, 각자가 추구하는 어떤 방향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제 그 사업성이 좀 달라질 것 같아요. 그냥 제 기준으로 얘기를 하자면, 지금 펜데믹 이후에 도장들이 많은 어떤 온라인화가 되어 있고, 그리고 온라인화로 갈려고 하니 또 막히는 부분도 많습니다.
그게 뭐냐, 첫 번째는 기술의 차이와, 그 다음에 투자의 차이가 도장에서는 이겨낼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 부모님들과 수련생, 지도자들이 이제는 도장에 꼭 나오지 않더라도, 주말에도 이렇게 뭐 평가도 할 수 있고, 그 다음에 자녀의 진도라든지, 상태들을 간단하게 알 수 있는, 그런 ‘앱화’,
그 다음에 또 도장 관장님들끼리의 실수에 관련된 것들이 분쟁이 안 생기도록, 그렇게 좀 제도적으로, 많은 부분을 신경 써주시면 우리 후배 지도자분들이 더 힘을 낼 수 있지 않을까,
이지성 : 네.
박한섭 : 네. 그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이지성 : 어, 좋은 말씀이십니다. 지금 박한섭 관장님이 말씀하시는 것은 가장 대한민국의 현실에 대해서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요, 저도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지금 어려운 시기에 태권도장을 운영한다는 것은 정말 힘든 일입니다. 그런데 거기에 대해서 어떻게, 어, 이것을, 더 잘 할 수 있느냐, 하는 방법은 제가 볼 때는 태권도장에는 태권도가 있어야 된다는 부분이구요, 그 태권도가 있기 위해서는 그 태권도를 잘 가르칠 수 있는 커리큘럼이 만들어져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 부분은 일반 개인이 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고요, 어, 대한태권도협회나 국기원등에서 그 기준을 좀 마련해 줬으면 좋겠다는 의미로 제가 받아들이겠습니다.
박한섭 : 네.
이지성 : 이렇게 하면 그 다음에들은 뭐 경영적인 거, 주 3일이던, 주 이틀이던 그것은 이제 풀어나가는 방법이니까, 그건 경영적으로 풀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 이렇게 멀리 와서 느낀 것은, 첫 번째는 마음이 좀 무겁고요, 왜냐하면 사범님에 대한 말씀을 많이 하셨으니까. 하지만 이제 두 번째로는 희망도 보였습니다. 그런 어려운 가운데서도 이겨내고, 지키면, 그 부분이 성공으로 갈 수 있다는 부분도 저는 충분히 봤습니다. 그래서 오늘 제가 느낀 것은 태권도장 안에는 태권도가 있고, 그 상품을 팔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다, 그것을 모든 기관이나 관장님들이 함께 하는 것이 태권도를 살리는 길이라 생각한다, 이렇게 정리하면 되겠습니다. 오늘 관장님,
박한섭 : 네.
이지성 : 너무 수고 많으셨습니다.
박한섭 : 네. 제가 두서없이 열변을 토한 것 같은데, 우리 구독자, 관장님들, 우리 또 사범님들, 앞으로 더 좋은 마인드를 가지신, 이제 시대의 트렌드를 잘 읽어 가시는 지도자분들이 이런 방송에, 유튜브에 많이 초대되셔서 허심탄회한 이런 얘기도 좀 나눴으면 좋겠고, 하여튼 포항까지 와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네.
이지성 : 네. 감사합니다.
박한섭 : 네.
이지성 : 아, 이것으로 오늘은 마치고요, 다음에는 또 다른 지역으로 제가 달려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시청해주신 관장님들, 그 다음에 태권도를 사랑하시는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박한섭 : 네.
이지성 : 감사합니다.
박한섭 : 자, ‘구독’과 ‘좋아요’는 사랑입니다. (웃음)
이지성 박사 프로필
태권도(국기원) 8단
연세대학교 박사(사회체육학)
현, 연세대학교 체육회 이사
현, 연세대학교 체육회 부회장
현, 연세대학교 총동문회상임이사
현, 한국스포츠외교학회 상임이사
현, 대한태권도협회 강사
현, 한국 바람직한 교육연구소 소장
전, 대한태권도협회 이사
전, 포항시 체육회 사무국장
전, 포항시 체육회 기획국장
전, 경상북도 체육회 사무국장협회의 부회장
국기원 구조개혁위원회 위원(2010)
국기원 연구소 교육연수연구원(2011)
국기원 성지화 사업 특별위원회 위원(2012)
WTA 운영준비위원회 교재개발 및 운영자문
2013 서울 세계태권도지도자포럼 집행위원
WTA 세계태권도아카데미 프로그램개발(2013)
2014 세계태권도한마당 조직위원회 사무총장
세계태권도연수원 이전타당성검토위원회 위원(2014)
대한태권도협회 기술전문위원회 도장분과부위원장 (2013)
대한태권도협회 기술전문위원회 심사분과위원장 (2014)
태권도진흥재단 운영준비자문위원회 위원 (2010)
재단법인 경태 재단 사무총장(이사 겸직 2012)
1993년 9월 5일~2021년 7월 1일 한국, 미국에서 태권도장 운영.
함께 행동하는 ‘이지성 태권도’(유튜브 링크)>https://www.youtube.com/channel/UC3q4qCxPyX18itHyHkwMpUA/featured
Comment>https://www.facebook.com/photo?fbid=5670077979722311&set=a.175621172501380
WTU-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