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News > 한국어
sns기사보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On the Great Value of Taekwondo“

(기고) “태권도, 그 위대한 가치에 대하여”
전(前) 국기원 이론교수 정인철
기사입력: 2025/03/22 [17:34] ⓒ wtu
WTU

  © Former Kukkiwon Professor, Jeong In-choul(center) (국기원 이론교수 정인철(중앙)(WTU)

 

During the Taekwondo event at the recent Paris Olympics, a Thai athlete won the gold medal. Upon confirming her victory, she bowed deeply to his master, Coach Choi Young-seok. It was truly a beautiful moment.

 

Master Choi Young-seok, the head coach of the Thai national Taekwondo team, is renowned for his strict education in manners and etiquette. From his interviews where he states that no matter how talented a student is, he will not teach them if they lack good character, one can easily infer his philosophy of education.

 

© The Thai athlete is bowing deeply to Head Coach Choi 태국 선수가 최감독에게 큰 절을 하고 있다 (WTU)

This event has sparked renewed attention in the media and on social networks regarding the spiritual values of Taekwondo.

 

Baert Erik, President of the European Taekwondo Union, who has been teaching Taekwondo in Europe for over 40 years, recently mentioned in a YouTube interview that the reason to learn Taekwondo lies in the spiritual culture of Korea. He has witnessed throughout his life how people positively change after learning Korea’s spiritual culture through Taekwondo.

 

© Baert Erik, the President of the European Taekwondo Union, is being interviewed on the YouTube channel 'Awesome Korea’ Baert Erik 유럽 태권도연맹 회장이 유튜브 채널 어썸코리아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WTU)

Unfortunately, modern society has seen the collapse of value systems. Various ideologies and beliefs are mixed together in chaos. Children and young people do not know what they can or cannot do. Under the pretext of "personal freedom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they engage in all sorts of bizarre behaviors. There seems to be no boundaries anymore, and they feel no shame.

 

The standards of right and wrong have collapsed under the wave of relativism, and with the disappearance of moral distinctions between good and evil, any act is now respected in the name of diversity. People who criticize such behavior are labeled as discriminators or hatemongers. It feels as if the very line between normality and abnormality has completely blurred.

 

People no longer care about right or wrong, good or evil. Since diversity and individuality have overwhelmed the values of morality, people live without any clear standards for their thoughts and actions. With the boundaries of what is permissible shattered, there is no answer to what one should aspire to in life, nor even the thought of such a question. People drift through this world, intoxicated by a collective unconsciousness, as concepts like "direction and purpose in life" are replaced by the simple pursuit of individual "happiness.“

 

© Former Kukkiwon Professor, Jeong In-choul(center) (국기원 이론교수 정인철

In such a time, there are still places that teach manners and character, and one of those places is the Taekwondo dojang. Amidst a world where values and educational authority have crumbled, the Taekwondo dojang remains one of the few institutions that still emphasizes holistic education.

 

In Western societies, where there are no formal honorifics and hierarchical distinctions are unclear, educating children on proper manners is even more challenging. Parents are often astonished when their children, after attending a Taekwondo dojang for just a few months, start bowing deeply in thanks to their teachers and parents.

 

At some dojangs in the United States, during belt promotion ceremonies, the parents of the students are invited to attend. After receiving their new belt, the promoted students express their gratitude by offering a deep bow to their parentsyes, a traditional Korean bow! Watching videos of American parents moved to tears by receiving such a bow from their children deeply touched me as well.

 

For many years, I have researched and written books to advance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Taekwondo. Even now, I am developing techniques for Combative Taekwondo. However, I believe that the greatest value of Taekwondo does not lie in its techniques, but in its power to transform people. That’s why I consider it a great honor to have lectured on the “Philosophy of Taekwondo” as a theory instructor at Kukkiwon. If someone were to ask me what the value of Taekwondo is, I would answer that it lies in its ability to shape and develop people.

 

Courtesy, mutual respect, and self-disciplinechildren who train in these virtues through Taekwondo can surely grow up to become leaders who will guide the world. And it is the Taekwondo masters on the front lines who are nurturing these children.

 

While it is true that many Taekwondo dojangs in Korea have been reduced to mere childcare facilities, I still feel a deep sense of regret about this trend.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no alternative institu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that can replace the Taekwondo dojang. To all the Taekwondo masters across the nation, and indeed around the world, who are sweating and training with their students today, I send my heartfelt affection and deepest respect.

 

(comment>https://www.facebook.com/100001604951101/posts/pfbid02teBUgQX2TtsJ7xhaxWDqJtturiUU6Gc43FUMx6om5FRaYCcWXB8StaFW4pd7rrqhl/?app=fbl

 

  

태권도, 그 위대한 가치에 대하여

 

이번 파리 올림픽 태권도 경기에서 태국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 선수는 승리가 확정되자 자신의 스승인 최영석 감독에게 가서 큰 절을 올렸다. 참으로 아름다운 장면이었다.

 

태국 태권도 국가대표 감독인 최영석 사범님은 선수들에게 예의범절 교육을 철저히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아무리 실력이 좋아도 인성이 나쁘면 가르치지 않는다는 그의 인터뷰 내용만 봐도, 그의 교육관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이번 일을 계기로, 각종 언론과 SNS등에서 태권도의 정신적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유럽에서 40년 넘게 태권도를 지도해 온 Baert Erik(유럽 태권도연맹 회장), 얼마전 모 유튜브 채널과의 인터뷰에서 태권도를 배워야 하는 이유로 한국의 정신문화를 얘기했다. 태권도를 통해 한국의 정신문화를 배운 이들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평생 봐왔다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현대사회는 가치체계가 붕괴되었다. 그리고 여러가지 사상과 이념이 난잡하게 섞여있다. 어린 아이들과 젊은이들은 무엇을 해도 되는지, 무엇은 해선 안 되는지를 모른다. 그리고 개인의 자유와 행복추구라는 명목으로 온갖 기괴한 일들을 일삼는다. 안 되는 것이 없다. 그리고 그에 대해 부끄러워 하지 않는다.

 

옳고 그름의 기준은 상대주의의 물결 아래 무너졌고, 선악의 기준이 사라지니 어떤 짓이든 다양성이라는 이름으로 존중받는다. 그리고 그것을 비판하는 정상적인 사람들을 차별주의자, 혐오주의자라고 공격한다. 이제는 아예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 자체가 허물어져 버린듯 하다.

 

사람들은 옳고 그름이나 선악에는 더 이상 관심이 없다. 다양성과 개성이 옳고 그름의 가치를 압도해 버렸기 때문에, 인간들은 아무런 기준이 없이 생각하고 행동하며 살아간다.

 

해도 되는 것과 안 되는 것의 기준이 무너지니, 당연히 무엇을 지향하며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답이 없고, 그런 발상 자체도 안된다. 사람들은 가치가 붕괴된 이 세계에서, 집단 무의식에 취해 끌려 다니며 살아간다. ‘인생의 방향성이나 목표같은 것은 그냥 개인의 '행복'이라는 단어로 대체되어 사라졌다.

 

이런 시대에 아직까지도 예의와 성품에 대해 가르치는 곳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태권도장이다. 가치관과 교권이 무너진 세상에서 그래도 아직은 전인교육을 지향하는 몇 안되는 교육기관 중 하나가 태권도장인 것이다.

 

존댓말이 없고 상하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서구 사회에서, 자녀의 예의교육은 더더욱 힘들다. 예의없고 자기 통제력이 없는 자녀가 태권도장을 다닌지 몇 달이 지난 후 부모님과 선생님에게 고개숙여 배꼽인사를 하는 모습을 보면, 부모들은 깜짝 놀랄 수밖에 없다. 미국의 어떤 도장에서는 승급심사 후 띠 수여식 때 수련생의 부모들을 초대한다. 띠를 수여받은 아이를 다같이 축하해주고,

승급한 아이는 자신의 부모에게 감사의 큰 절을 올린다. 한국식 절 말이다! 어린 자녀에게 큰 절을 받으며 감동의 눈물을 흘리는 미국 부모들의 모습을 영상으로 보고, 필자 또한 큰 감동을 받았다.

 

필자는 오래전부터 태권도의 실전화를 위해 연구하고 책을 써왔다. 그리고 지금도 Combative Taekwondo 기술을 개발 중이다. 그러나 태권도의 가장 큰 가치는 기술이 아니라 바로 사람을 변화시키는 힘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필자는 국기원 이론교수로서 태권도 정신론을 강의한 것을 큰 영광으로 여긴다. 누군가 내게 태권도의 가치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사람을 변화시키고 키워내는 것이라고 답하겠다.

 

예의와 상호존중, 그리고 자기조절, 태권도를 통해 이런 덕목들을 훈련한 아이는 분명 커서 세계를 이끌어갈 리더가 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그리고 그런 아이들을 키워내는 것은, 바로 현장의 태권도 사범님들이다. 한국의 태권도장이 보육시설로 전락한 측면이 분명히 있다. 그리고 그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권도장을 대체할 인성교육 기관은 아직까지는 없다. 오늘도 아이들과 함께 땀 흘리며 뛰고있을 전국, 아니 세계의 태권도 사범님들에게, 더할 수 없는 애정과 진심어린 존경의 마음을 담아 인사를 보낸다.

 

(comment>https://www.facebook.com/100001604951101/posts/pfbid02teBUgQX2TtsJ7xhaxWDqJtturiUU6Gc43FUMx6om5FRaYCcWXB8StaFW4pd7rrqhl/?app=fbl

 

WTU-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wtu.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정인철,Jeong In-choul 관련기사목록
광고

더보기

이전 1/31 다음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